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협착증과 무릎 통증, 관계가 있을까?

by 방탄유리야 님의 블로그 입니다. 2025. 4. 19.

협착증과 무릎 통증 상관관계 사진

허리가 아픈 줄 알았는데 무릎까지 아프고, 무릎이 문제인 줄 알았는데 허리도 당기고… 척추관협착증 진단을 받은 많은 분들이 “무릎 통증까지 생겼다”라고 호소합니다.

두 질환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척추와 무릎은 밀접하게 연결된 부위이며, 척추관협착증이 무릎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통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협착증과 무릎 통증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 원인과 관리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협착증이 무릎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이유

척추관협착증은 요추(허리) 부위의 척추관이 좁아지며 하체로 내려가는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입니다.

특히 협착 부위가 L4~L5, L5~S1일 경우, 좌골신경을 따라 엉덩이 → 허벅지 → 무릎 → 종아리 → 발끝까지 신경 자극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무릎 주변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무릎 앞쪽 또는 안쪽의 둔한 통증
  • 무릎을 굽혔다 펼 때 저릿하거나 묵직한 느낌
  • 계단을 오를 때 무릎 통증과 함께 다리에 힘이 빠짐
  • 무릎 통증이 허리나 엉덩이 통증과 함께 발생

즉, 무릎 자체에 염증이나 퇴행이 없어도 신경 압박으로 인한 방사통 때문에 무릎이 아픈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협착증으로 인해 자세가 바뀌며 무릎에 부담이 증가

협착증 환자들은 통증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자세를 바꾸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 허리를 약간 앞으로 굽히고 걷기
  • 골반을 뒤로 빼고 체중을 엉덩이와 다리로 실음
  • 한쪽 다리에 무게를 집중시키는 습관

이러한 비정상적인 체중 분산은 무릎에 과도한 하중을 실어 관절염, 연골 손상, 점액낭염, 무릎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체중이 무릎 안쪽에 쏠리면 내측 슬개 대퇴 통증 증후군이 생길 수 있고, 다리를 끄는 보행 습관은 무릎 주변 근육의 부조화를 유발해 불안정감을 높입니다.

3. 내 증상, 협착증일까? 무릎 자체 문제일까?

무릎 통증이 있다면 원인이 허리(협착증)인지, 무릎 자체의 문제인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로 확인해 보세요.

증상 협착증 가능성 무릎 관절 질환 가능성
무릎 통증과 함께 허리·엉덩이·종아리 통증이 있다 높음 낮음
앉았다 일어날 때보다 걸을 때 통증이 더 심하다 높음 중간
계단보다 평지 걷기가 더 어렵다 높음 낮음
무릎이 붓고 열감이 있다 낮음 높음
무릎을 누르거나 움직일 때 통증이 있다 낮음 높음

위와 같은 방식으로 통증의 양상과 위치를 파악하고, 필요시 MRI, 무릎 X-ray, 근전도 검사 등으로 정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협착증 환자의 무릎 통증, 이렇게 관리하세요

무릎 통증이 협착증에서 기인한 경우, 허리·골반·고관절 정렬을 잡아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1) 허리와 고관절 스트레칭:

  • 무릎 당기기, 허리 굴곡 스트레칭
  • 고양이 자세로 척추 유연성 확보
  • 고관절 회전 스트레칭 (앉아서 다리 X자로 꼬고 당기기)

2) 걷기 자세 교정:

  • 발을 바르게 딛고 무릎에 힘주지 않고 걷기
  • 보폭 줄이고 무게 중심을 양발에 고르게
  • 통증이 심한 날은 실내 자전거나 수중 걷기 활용

3) 의자에 앉는 자세:

  •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조절
  • 허리와 엉덩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필수

결론 – 무릎이 아프다고 무릎만 보지 마세요

무릎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척추관협착증에서 시작되는 신경 압박과 자세 변화가 무릎에 연쇄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간과되기 쉽습니다.

무릎이 아프면 무릎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허리, 골반, 고관절까지 연결된 체형 전체를 함께 관리해야 합니다.

통증 부위가 아닌, 원인을 바라보는 관점이 비수술 협착증 관리의 핵심입니다.

지금 무릎이 아프다면, 허리부터 체크해 보세요.